주식 이론11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 이익률)란? - 심화편 "생각없이 읽다보면 재미있는 금융지식!" 기초편을 읽지 않고 오신 분들은 기초편을 읽고 와주세요! 2022.05.29 - [주식 이론/기초편] -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 이익률)이란? - 기초편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 이익률)이란? - 기초편 "생각없이 읽다보면 재미있는 금융지식!" 이번 글에서는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 이익률)에 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ROE는 주식을 볼때 가장 중요한 지표중 하나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기초 zeroroom.tistory.com 이번 글에서는 ROE(Return on Equity)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려 합니다. 크게 1) 듀퐁분석(DuPont Analysis) 2) 자본 배분 관점에서.. 2022. 6. 6.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 이익률)란? - 기초편 "생각없이 읽다보면 재미있는 금융지식!" 이번 글에서는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 이익률)에 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ROE는 주식을 볼때 가장 중요한 지표중 하나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기초적인 ROE와 심화적으로 볼때 ROE를 나누어서 글을 쓸 예정입니다. ROE(Return on Equity)란? ROE는 자기자본이익률로 자기의 자본으로 얼마만큼의 이익을 내었는지 를 알려주는 지표입니다. 아래와 같은 공식으로 구할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00억원의 자본금을 들여 회사를 세웠다고 합시다. 1년동안 100억원의 당기순이익이 발생했다고 가정하면 이 회사의 ROE는 100/1000 = 10% 가 됩니다. 여기서 주목할 포인트는 회사 설립시점의 자기자본은 1000이고, 1년 이후의 .. 2022. 5. 29. PBR(Price Book 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이란? "생각없이 읽다보면 재미있는 금융지식!" 이번 글에서는 PBR(Price Book 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이란 무엇인가?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PBR이란 가격(Price)과 순자산(Book value)의 비율입니다. 여기서 순자산(Book value) 이라는 개념이 생소할 것이라고 생각 됩니다. 아래와 같이, 단순화한 재무제표가 있다고 가정합시다. 자산은 현금100 + 유형자산100 = 200 부채 차입금 50 자본 자본금 150 이 있다고 가정하면 자산 200에서 부채 50을 뺀 만큼인 150만큼이 순자산(Book value)이 됩니다. 200 - 50 = 150 순자산(Book value)을 볼때 주의해야 할 점은 자산이 시가평가 되지 않는다. 라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부동산을.. 2022. 5. 22. PER(Price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란?, PER 밸류에이션 "생각없이 읽다보면 재미있는 금융지식!" 이번 글에서는 PER(Price Earning Ratio)라는 멀티플(Multiple)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선 멀티플(Multiple) 이라는 용어는 영어 해석 말그대로 배수입니다. 예를 들면 주식의 가치를 평가할 때 PER 22배다 혹은 PBR 2배다. 혹은 PSR 10배다. 이런 말을 할때 주로 PER, PBR PSR들을 멀티플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이런 멀티플들 중 가장 기초가되고 많이 쓰이는 PER(Price Earning Ratio)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PER(Price Earning Ratio)은 말그대로 가격(Price)과 이익(Earning)의 비율(Ratio) 입니다. 예를 들어 봅시다. 1년에 당기순이익(Net Income)이 100.. 2021. 7. 24. 손익계산서(Income Statement, IS)란? "생각없이 읽다보면 재미있는 금융지식!" 오늘은 손익계산서(Income Statement, IS)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손익계산서(Income Statement, IS)란 특정 기간 동안 기업의 수익과 비용을 나타내는 재무제표 입니다. 삼성전자의 손익계산서를 봐볼까요?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각각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볼까요!? 우선 특정 시점인 재무상태표(Balance Sheet), BS 와 다르게 특정 기간을 보여줍니다. (BS는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2021.06.21 - [주식/기초편] - 재무상태표(Balance Sheet, BS)란? 재무상태표는 분기말 시점에 내가 얼마를 들고있냐가 관점이고 손익계산서는 분기동안 얼마를 벌었냐가 관점인거죠.! 손익계산서는 아래와 같이 특정.. 2021. 7. 24. 배당(Dividend)이란?, 배당의 모든 것! "생각없이 읽다보면 재미있는 금융지식!" 오늘은 배당(Dividend)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배당을 검색해보면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 소유 지분에 따라 기업이 이윤을 분배하는 것.' (출처: 두산백과) 이라고 나와 있는데요.! 쉽게 말해서 채권의 쿠폰(Coupon)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00원의 원금을 가진 연 5% 쿠폰이라면 연 5원씩을 만기 전까지 얻을 수 있는거죠! 이것도 이해가 어려우시다면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아래는 회계 공시사이트인 다트(dart.fss.or.kr) 공시인데요.! 삼성전자 배당 공시입니다.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10429800081 삼성전자/현금ㆍ현물배당결정/2021.04.29 dar.. 2021. 7. 22. 이전 1 2 다음